
건축음향 측정 분석 요약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600석)의 건축음향 특성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건축음향 측정은 공석 시 1층 객석 4 지점, 2층 객석 2 지점 총 6 개 지점을 측정하였다. 측정 데이터는 EDT, T30, BR, Ts, C80, D50, STI, LF, LFC, ST, NC, 주파수 응답 특성 레벨 편차를 분석하였고, 음원은 무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하였다. 측정 신호는 Sweep 신호를 이용하여 S/N비를 높였다.
측정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8 개 지점 평균 잔향은 500Hz에서 EDT는 1.16초, T30은 1.20초로 측정되었다. T30 1.20초는 연극이나 뮤지컬, 무용 등 스피커를 사용하는 공연 등에 적합한 값이라 할 수 있다. 저음비율(BR)은 1.54로 나타났다. 중음 500Hz와 1kHz의 잔향 값보다 저음 125Hz와 150Hz의 잔향값이 더 많은 결과가 나왔다.

그리고 명료도 Ts는 68.43ms, 음악명료도 C80은 4.33dB, 음성명료도 D50은 59.36%로 나타났다. 음성전달명료도 STI는 0.63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값은 음악보다 음성 전달에 좋고, 대중음악, 연극 공연에 적합하고, 음성전달에는 ‘Good(잘 들린다)’으로 평가된다.
실내 공간감을 나타내는 LFC는 0.19로 나타났다.
무대 모니터 환경을 알 수 있는 ST 값은 음향반사판을 사용하지 않는 공연장이기 때문에 빈 무대에서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3 지점 평균 ST1은 –14.70, ST2는 –12.37로 나타났다. ST1은 무대에서 연주자끼리 연주 소리를 듣는 능력을 위한 척도이고, ST2는 실내 잔향 청취 정도를 가늠하는 척도이다. ST 파리미터의 주파수 범위는 옥타브 밴드 250Hz ~ 2,000Hz이며, ISO 3382-1 문서에서 적합한 범위는 –24dB < ST1 < -8dB이다.
객석에서 최대 음압레벨과 최소 음압 레벨의 편차는 500Hz의 중심 주파수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약 ±6dB 이내로 나타났다.
대극장 실내 소음 정도를 측정해 보았다. 객석 C 14번 위치에서 측정한 값은 NC 26으로 측정되었다. 대학로 한 가운데 위치한 대극장의 실내 소음은 양호한 값으로 나타났다.
음향 측정 결과 모든 좌석에서 에코와 같은 음향 장해 현상은 없는 없었으며, 전체적으로 바람직한 음향 특성을 보이고 있다. ![]()
건축음향 측정 파라미터 결과 종합
| [표1]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600석) 건축음향 특성 | ||
| 주관적 설명 | 파라미터 |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600석) |
| 잔향시간 | EDT(s)@500Hz | 1.16 s |
| T30(s)@500Hz | 1.20 s | |
| BR | 1.54 | |
| 명료도 | Ts(ms) | 68.43 ms |
| C80(dB) | 4.33 dB | |
| D50(%) | 59.36 % | |
| STI | 0.63 | |
| 공간감 | LFC | 0.19 |
| 무대 모니터 환경 | ST1 | -14.70 |
| ST2 | -12.37 | |
대극장(600석) 파라미터 평균값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600석)
측정│성재훈, 정주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