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KOSOUND Technical세미나 – d&b 라우드 스피커와 적용기술의 특징 

d&b 라우드 스피커와 적용기술의 특징 

가레스 켈브릭 d&b audiotechnik APAC디렉터

  • 엔지니어로 출발해 FOH와 레코딩, 기술 책임자를 거쳐 현재 d&b audiotechnik APAC 디렉터로 활동 중인 가레스 켈브릭. 스튜디오부터 라이브, 시스템 설계까지 폭넓은 영역을 아우른 그가 이번 2025 KOSOUND에서 <d&b 라우드스피커와 적용 기술의 특징>을 주제로 3일간 함께하며 전한, d&b가 지향하는 사운드 철학을 들어보자.
 가레스 켈브릭 d&b audiotechnik APAC디렉터

안녕하세요, (사)무대음향협회 협회지 SSM입니다. 엔지니어로 시작해 FOH, 레코딩, 기술 책임자를 거쳐 지금은 d&b audiotechnik APAC에서 활동하고 계시다니 정말 인상적입니다. 이렇게 폭넓은 경력을 쌓으시기까지 어떤 과정과 경험을 거치셨는지 들려 주실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SSM.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저의 오디오와 스피커에 대한 관심은 고등학교 시절 시작되었습니다. 주말마다 하우스 파티를 위해 스피커 시스템과 DJ 장비를 구입하면서 자연스럽게 음악 제작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결국 오디오 엔지니어링을 전공하게 되었습니다.

학업 중에는 전문 녹음 스튜디오에서 인턴십을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커피 심부름을 하며 스튜디오 환경에 적응했지만, 점차 패칭 작업과 녹음 엔지니어역할까지 맡게 되었습니다. 당시 스튜디오는 아날로그 Neve와 SSL 콘솔, 다양한 아웃보드 장비를 사용했고, 녹음은 Pro Tools나 테이프를 활용해 진행되었습니다. 그 후, 제가 작업하던 밴드들이 라이브 공연 믹싱을 부탁하기 시작했고, 저는 라이브 음악 현장이 스튜디오보다 저에게 더 맞는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후 몇 년 동안 밴드, 연극, 교회 등 다양한 라이브 공연을 믹싱하며 경험을 쌓았습니다.

싱가포르로 이주한 뒤에는 시스템 통합 분야에서 스피커 시스템 설계와 설치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이 경험이 2017년 d&b audiotechnik 입사의 계기가 되었고, 처음에는 지원 테크니션으로 시작해, 이후 APAC 지원 디렉터로 활동하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 사용자들을 지원하고 교육할 기회를 얻었습니다.

현재는 APAC 비즈니스 개발 디렉터로 활동하며, 다른 방식이지만 여전히 매우 흥미로운 일을 하고 있습니다. 저는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d&b 기술이 그들의 프로젝트 목표 달성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발견하는 일을 특히 즐깁니다.

3일간의 2025 KOSOUND를 함께한 가레스 켈브릭의 세미나

이번 세미나의 주제로 ‘d&b 라우드 스피커와 적용 기술의 특징’을 선택하신 이유와, 세미나를 통해 핵심적으로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나 내용은 무엇인가요?

소리가 어떻게 전달되고 인지되는지는 관객에게 잊을 수 없는 경험을 제공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관객이 공연자를 명확히 듣지 못한다면, 공연에 온전히 몰입하기 어렵습니다. 이번 코사운드에서 제가 전달하고자 한 핵심 메시지는, d&b의 첨단 스피커 기술이 공연의 열정을 어떻게 정확하게 관객에게 전달하는지입니다.

d&b audiotechnik은 ArrayProcessing, Soundscape 등 차세대 음향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이 기존 라우드 스피커 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제공하는 본질적인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d&b는 스피커의 지향성을 통한 명료함을 추구하며, 이를 통해 전 세계 관객들에게 타협 없는 청취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강력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이 지향성은 2010년 B4-SUB 출시를 시작으로, 2017년 SL-Series에 이르기까지 이어진 카디오이드 스피커 라인업에서 특히 두드러집니다. 이로써 GSL, KSL, XSL은 물론, 현재는 단일 채널로 구동되는 가장 작은 카디오이드 스피커 CCL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규모와 용도에 걸쳐 전 대역 지향성제어를 시장에 선보일 수 있었습니다.

국내 공연장은 대부분 다목적홀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요. 이러한 환경에서 라우드 시스템을 적용할 때 특히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는 무엇인가요?

무엇보다도 과도한 반사를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청취 구역만을 정확히 커버하고, 벽과 천장을 최대한 피하는 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특히 d&b의 카디오이드스피커와 ArrayProcessing 같은 도구를 활용하면, 이러한 목표를 훨씬 더 쉽게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번 KOSOUND 세미나에서 (사)무대음향협회 엔지니어분들에게 특히 전하고 싶은 조언이나 메시지가 있다면 들려주실 수 있나요?

저는 한국에서 만들어지는 높은 수준의 공연 제작에 대해 큰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d&b는 한국과 국제 무대에서, 이러한 공연 경험을 팬들에게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기회를 늘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